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제21대 대통령 선거 D-17일,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 총정리"

by soso_log 2025. 5. 17.
반응형

2025년 6월 3일(화요일),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실시됩니다. 이번 선거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인한 조기 대선으로, 선거일은 헌법 제68조와 공직선거법 제35조에 따라 대통령 궐위 시 60일 이내에 선거를 실시하도록 규정되어 있어 6월 3일로 확정되었습니다 .

 

🗓️ 선거 일정 및 주요 절차

  • 선거일: 2025년 6월 3일(화)
  • 사전투표: 5월 29일(목) ~ 5월 30일(금)
  • 후보자 등록: 5월 10일(토) ~ 5월 11일(일)
  • 공식 선거운동 기간: 5월 12일(월) ~ 6월 2일(월) 자정까지
  • 당선자 취임일: 6월 4일(수) (인수위원회 없이 즉시 취임)

이번 선거는 대통령 궐위로 인한 보궐선거이므로, 당선자는 인수위원회 없이 선거 다음 날인 6월 4일 곧바로 취임합니다 .

 

👥 주요 후보자 및 공약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번 대선에는 총 7명의 후보가 등록하였습니다 . 주요 후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 네이버 검색

1. 이재명 (기호 1번, 더불어민주당)

  • 이력: 전 경기도지사,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 슬로건: "이제부터 진짜 대한민국"
  • 주요 공약: 민생 회복, 공정 사회 실현

2. 김문수 (기호 2번, 국민의힘)

  • 이력: 전 경기도지사, 전 고용노동부 장관
  • 슬로건: "경제 대통령"
  • 주요 공약: 기업 환경 개선, 일자리 창출

3. 이준석 (기호 4번, 개혁신당)

  • 이력: 전 국민의힘 대표
  • 슬로건: "힘 빼는 대통령"
  • 주요 공약: 대통령 권한 축소, 정부 조직 개편

4. 권영국 (기호 5번, 민주노동당)

  • 이력: 인권변호사
  • 슬로건: "차별 없는 대한민국"
  • 주요 공약: 증세를 통한 사회 불평등 해소

5. 구주와 (기호 6번, 자유통일당)

  • 이력: 변호사
  • 슬로건: "반국가 세력 척결"
  • 주요 공약: 국가 안보 강화

6. 황교안 (기호 7번, 무소속)

  • 이력: 전 국무총리, 전 대통령 권한대행
  • 슬로건: "부정선거 척결"
  • 주요 공약: 선거 무결성 확보

7. 송진호 (기호 8번, 무소속)

  • 이력: 글로벌데이터자산공제회 이사장
  • 슬로건: "디지털 금융 허브"
  • 주요 공약: 가상자산 피해자 구제, 디지털 금융 정책 강화

📊 최근 여론조사 동향

MBC가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재명 후보가 47%의 지지율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김문수 후보는 30%, 이준석 후보는 7%의 지지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 유권자 정보 및 투표 참여 방법

  • 선거권: 2007년 6월 4일 이전 출생한 대한민국 국민
  • 피선거권: 1985년 6월 3일 이전 출생한 대한민국 국민
  • 재외선거: 국외부재자 및 재외선거인은 2025년 4월 24일까지 신고 및 신청을 완료해야 하며, 기한 내 신고하지 않으면 해외에서 투표할 수 없습니다.

🏛️ 향후 일정 및 참고사항

당선자는 6월 4일 곧바로 취임하며, 인수위원회 없이 새 정부를 출범시킵니다 . 이번 선거는 대통령 궐위로 인한 조기 대선으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제21대 대통령 선거는 단순한 정권 교체를 넘어, 정치적 불안정과 사회 갈등을 해소하고 국민 통합을 이룰 수 있는 새로운 리더십을 요구받는 선거입니다. 특히 최근 대통령 탄핵 사태 이후 치러지는 보궐선거인 만큼, 유권자들은 후보자의 도덕성과 위기 관리 능력, 국정 운영 비전을 면밀히 따져보고 투표에 임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청년 일자리, 고령화 문제, 외교 안보 등 여러 국가적 과제를 두고 각 후보가 제시하는 해법과 실현 가능성도 꼼꼼히 비교해야 합니다. SNS, 유튜브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선거운동이 활성화된 가운데, 허위정보에 휘둘리지 않고 공신력 있는 정보에 기반한 판단이 중요합니다. 민주주의의 주체로서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공정한 선거 분위기를 만들고 주변의 참여도 독려하는 것이 이번 선거의 의미를 더욱 깊게 할 것입니다.

반응형